ABCDEFGHIJKLMN
OPQRSTUVWXYZ

'I' 로 시작하는 단어

  • Ijeuk-ibi Sijeuk-bijeuk [이즉이비 시즉비즉, 離卽離非 是卽非卽 ]

    Not same but the same, the same but not same: In the ultimate reality of true...

    진여문 (眞如門)에서 보면 만법 (萬法)은 다 똑같다. 이것을 가리켜 즉 (卽), 곧 ‘...

  • Ijeukbul [이즉불 , 理卽佛]

    The underlying truth of all things is Buddha: It is the doctrine of the Tient...

    이즉 (理卽)이라고 줄여서 말하기도 함. 이는 일체 중생이 다 불성을 갖춘 것을 이...

  • Iji [이지 , 理智 ]

    Noumenal principle and transcendental wisdom: While principle is the object p...

    이 (理)는 관 (觀)할 바 대상인 도리 (道理). 지 (智)는 관하는 주체적 지혜. 이 ...

  • Ijon chamhoi [이종참회, 二種懺悔]

    Two kinds of repentance. Cf. (Sacham) Repentance by means of prayer chanting ...

    사참 (事懺)과와 이참 (理懺). 각 항목 참조

  • Ijong Gongyang [이종공양, 二種供養]

    Two kinds of offering: Goods and Buddha-dharma, or Buddha's teaching.

    재공양 (財供養)과 법공양 (法供養)

  • Ijong Haetal [이종해탈, 二種解脫]

    Twofold emancipation. Cf. (Muwihaetal) Non-doing emancipation, and (Yuwihaeta...

    무위해탈 (無爲解脫)과 유위해탈 (有爲解脫)을 말함. 각 항목 참조

  • Ijonggwanbeop [이종관법, 二種觀法]

    Two types of insight: The mind-only view, and the ultimate view of phenomena.

    이것은 유식관 (唯識觀)과 실상관 (實相觀)을 말함

  • Ijung Jaryang [이중자량, 二重資糧]

    Twofold capability or necessity for attaining the Buddhahood: They are virtue...

    불과 (佛果)를 증득하려고 수행하는 것을 돕는 두 가지 자량 (資糧)(필수품)이란 ...

  • Ilbeopgye [일법계, 一法界]

    The realm of absolute One: It is another name for true- suchness beyond the w...

    유일절대( 唯一絶對)의 세계. 이는 곧 인법무아 (人法無我)의 진여를 말함

  • Ilbulseung [일불승, 一佛乘 ]

    The One Buddha-vehicle: The doctrine the Tientai Sect that it is the only way...

    법화경의 소설 (所說)로, 부처를 이룰 수 있는 유일한 교법 (敎法). 삼승 (三乘)은...

12345678910

    찾은 단어가 없습니다.



라이센스 자세히보기  |  의견제안  |  오류신고

  • 출처안내
  • 한국불교대학
  • 도서출판좋은인연

© 2011 - 박영의 박사와 한국불교대학이 모든 권한을 소유하고 있습니다.
상업적인 용도로 ‘실용한-영 불교용어사전’을 사용할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