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과
[五果, Ogwa]


  • 소승 (小乘)에서 육인 (六因) 및 사연 (四緣)과 함께 이야기 하는 과보 (果報)
    1) 증상과 (增上果) (어떤 현상이 나타날 때, 자기 이외의 다른 일체법이 직접 힘을 주거나 또는 방해하지 않거나 하여 도와주는 관계로 나타나게 하는 것. 다시 말해 다른 일체의 것이 직접 또는 간접적인 원인이 되어, 그로 인해 증대 (增大)된 힘에 의하여 나타난 결과를 말함)
    2) 사용과 (士用果) (사 (士)는 사대부 (士大夫)와 같은 능력이 있고 힘깨나 쓰는 사람을, 용 (用)은 쓰임새를 뜻함. 따라서 사용과 (士用果)는 능력 있는 사람이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여 무슨 일을 성취하는 것을 말함)
    3) 등류과 (等流果) (육인 (六因) 중에서 동류인 (同類因)과 변행인 (遍行因)으로 인해 나타나는 결 과. 다시 말해, 인과관계에 있어서 인( 因)이 선하면 과 (果)도 선하고, 인 (因)이 악하면 과 (果)도 악하다는 것을 말함)
    4) 이숙과 (異熟果) (이숙인 (異熟因)으로 받는 과보. 선악의 인 (因)으로 인하여 시간을 달리하여 그 성질과 종류가 다르게 성숙한 과보 (果報)를 말함)
    5) 이계과 (離繫果) (번뇌의 속박에서 벗어나 얻는 택멸무위 (擇滅無爲), 곧 열반을 말함)

    The fivefold fruit or aspect of retribution: The doctrine of Hinayana, which is related with six causes and four conditions.
    1) The fruit of either direct or indirect causal factors of empowering condition.
    2) The fruit of the ability or power of an able man.
    3) The fruit of corresponding to the cause, either good or evil, of the kamic action.
    4) The retribution of either good or evil in different forms and different times.
    5) Liberation from the fetters of defilement and attaining Nirvana. Cf. (Yukin) Six causes.

    찾은 단어가 없습니다.



라이센스 자세히보기  |  의견제안  |  오류신고

  • 출처안내
  • 한국불교대학
  • 도서출판좋은인연

© 2011 - 박영의 박사와 한국불교대학이 모든 권한을 소유하고 있습니다.
상업적인 용도로 ‘실용한-영 불교용어사전’을 사용할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