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성
[五性, Oseong]


  • 오성각별 (五性各別) 또는 오종성 (五種性) 이라고도 말하며, 유식종( 唯識宗)에서 주장하는 중생의 다섯 가지 타고난 성품 (性品)
    1) 보살정성 (菩薩定性) (본래부터 부처가 될 무루 (無漏) 종자를 갖춘 중생)
    2) 연각정성 (緣覺定性) (벽지불 (辟支佛)이 될 무루 (無漏) 종자를 갖춘 중생)
    3) 성문정성 (聲聞定性) (아라한이 될 무루 (無漏) 종자를 갖춘 중생)
    4) 삼승부정성 (三乘不定性) (두 가지 종자나 세 가지 종자를 갖춘 중생. 이것은 다시 네 가지로 분류된다)
    5) 무성유정 (無性有情) (성문, 연각, 보살의 무루( 無漏) 종자는 없고, 다만 오계 (五戒)나 십선계 (十善戒)를 닦으므로 인승 (人乘)이나 천승 (天乘)이 될 유루 (有漏) 종자를 갖춘 중생)

    The five different inborn natures of sentient beings: The doctrine of the Mind-only School.
    1) Bodhisattva nature: One who is born with the undefiled Buddha-nature.
    2) Pratyeka-buddha nature: One who is born with the undefiled nature of independently-awakened Buddha.
    3) Shravaka nature: One who is born with the undefiled nature of the Sound-hearing Arhat.
    4) Undefined nature of two or three vehicles: One who is born with either of the two or three vehicles.
    5) No Buddha-nature of sentient beings: One who is born with no hope of attaining supreme enlightenment. Yet there still is a hope of reborn as a human or a heavenly being through cultivation of the five basic precepts and ten good conducts.

    찾은 단어가 없습니다.



라이센스 자세히보기  |  의견제안  |  오류신고

  • 출처안내
  • 한국불교대학
  • 도서출판좋은인연

© 2011 - 박영의 박사와 한국불교대학이 모든 권한을 소유하고 있습니다.
상업적인 용도로 ‘실용한-영 불교용어사전’을 사용할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