뢰야연기
[賴耶緣起, Roiyayeon-gi]


  • 사종연기 (四種緣起)의 하나. 우주의 삼라만상은 아뢰야식으로 연기 (緣起)한다는 법상종 (法相宗)의 교설 (敎說). 아뢰야식에는 모든 법을 내는 종자가 있다. 그런데 거기에는 선천적으로 있는 본유종자 (本有種子)와, 현행하는 모든 법이 후천적으로 새로 훈부 (熏付)한 새로운 종자가 있다. 그런 다음 이 두 가지 종자가 화합하여 온갖 차별상을 일으킨다.
    이렇듯 이 연기론은 개인적이며 상대적인 유심론 (唯心論)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중생은 각자의 아뢰야식으로부터 제각기 끊임없는 자기의 우주만상을 만들어 낸다. 유심연기 (唯心緣起)와 진여연기 (眞如緣起) 및 법계연기 (法界緣起) 참조

    The causative condition of the storehouse of con- sciousness: It is the doctrine of the Dharma-character School that every phenomenon arises from the subconsciousness is stored in the storehouse of consciousness or the eighth consciousness.
    This doctrine posits that there are two kinds of consciousness in the eighth consciousness, the latent or original consciousness and the newly imprinted consciousness. The combination of these two factors then creates myriad distinctions of mark. In this sense, it is a kind of personal and relative theory of consciousness, the basis for the claim that all the manifestations of consciousness are, in fact, the personal creation or projection of myriad illusions.
    It is one of the four kinds of dependent origination, Sajongyeongi. Cf. (Yusimyeon-gi) The causative condition of the mind, (Jinyeoyeon-gi) The causative condition of true-suchness, and (Beopgyeyeon-gi) The causative condition of the Dharma world.

    찾은 단어가 없습니다.



라이센스 자세히보기  |  의견제안  |  오류신고

  • 출처안내
  • 한국불교대학
  • 도서출판좋은인연

© 2011 - 박영의 박사와 한국불교대학이 모든 권한을 소유하고 있습니다.
상업적인 용도로 ‘실용한-영 불교용어사전’을 사용할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