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
[空, Gong]
-
비유비무 (非有非無)로서의 무자성 (無自性)을 의미하는 공 (空)이란, 일반적인 뜻의 있든 것이 없어진 아무것도 없는 텅 빈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현상은 본래 자성 (自性)이 없어 인연 따라 생멸하기 때문에 실재한다고 말할 수 없다는 것. 즉 모든 현상 (現象)의 무상 (無常)함 (고정 불변이 아닌)과 무아 (無我) (비 본질)에 관한 연기 (緣起) (사물의 의타성), 즉 자성 (自性)이 없음을 말한다.
다시 말해 모든 사물은 단지 이름일 뿐이며, 끊임없이 흐르면서 상호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그 어떤 것도 영원한 본질이나 실체를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없다는 것. 불교에서 말하는 공 (空)은 모양도 없고 허공처럼 비어 있으면서도 대기 (大氣)의 기운처럼 생명으로 가득 차있으며, 만법의 생성원리인 동시에 만물의 어머니가 된다. 따라서 불교에서 말하는 공 (空)은 무한한 허공처럼 만유 (萬有)를 포섭하며 모두와 하나가 된다. 이렇듯 공 (空)은 또 연기 (緣起)와 같은 뜻으로, ‘인연으로 생긴 것이 아닌 것은 진실이라 말할 수 없으며, 따라서 만유의 공성 (空性)이란 분명하느니라.’ 이것은 중관 (中觀)에 나오는 용수보살 (龍樹菩薩)의 말. 다시 말해 불교에서 말하는 ‘공’이란, 있었던 어떤 사물이 파괴됨으로써 소멸되는 것이 아니라, 사물 자체가 본래 무자성이고 실체가 없는 ‘공’ 아닌 ‘공’이라는 것.
또 불교의 공 (空)에 대한 근본 이치는, 유교에서 말하는 태극 (太極)과 영원한 역동적 변화를 그 근간으로 하는 주역 (周易)의 우주관과도 유사한 점이 없지 않다. 그리고 모르는 사람들은, 공 (空)하면 허무주의를 이야기하나, 불교에 있어서 공 (空)은 반야 (般若), 즉 지혜의 등불과 진여에 대한 다른 이름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아무것도 없다는 빌 공 (空)자 공 (空)에 걸려들지 않도록. 공 (空)이라는 말은 집착을 버리라는 뜻에서 편의상 붙인 이름일 뿐, 이는 중도 (中道)와도 같은 개념이며, 또 이것이 불교 전반에 관통하고 있는 기본 교리이다. 장자 『莊子』에 유도집허 (唯道集虛)라는 말도 있다. 그리고 또 하나 알아야 할 것은, 대승 (大乘)과 소승 (小乘)의 경론 (經論)치고 공의 이치에 관해 논하지 않는 것이 없지만, 그 교리의 깊고 얕음에 따라 다양하게 설명하고 있다는 것. 십팔공 (十八空) 참조Sunyata: Void, or non-substantiality, the primal emptiness, birthlessness, specifically, the emptiness of absolute substance, truth, identity, intrinsic reality, or self of all persons and things in the relative world. This concept is actually quite opposed to any sort of absolute nothingness or vacuity. It is one of the key concepts of Buddhism, the concept that everything has neither substance nor permanence, the concept of non-substantiality, no self-nature, no-thing, signless- ness, the Void, the plenum-Void, empty yet full, which is quite different from a dark nothingness. Everything is but a name. We can also say that whatever is dependent arising, that is emptiness.
This means that things are empty because everything is totally interconnected with everything else, which means they have no separate existence. In the realm of the absolute void, there is interfusion and inter-penetration of self and others, man and the universe. Such is the natural law, things happening naturally and inevitably. Thus, one should remember that emptiness in Buddhism, along with Daoism, does not mean an ordinary conception of blank nothingness or the absolute void. It means something about the condition of matter, not that matter does not exist at all. In other words, matter itself is void, and Voidness does not result from the destruction of matter, but nature of matter is itself voidness. The realization of this is the entrance into non-duality.
Thus all finite things are interdependent, relative, and mutually conditioned. It implies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any independent, self-sufficient thing or entity. An entity exists only in relation to other entities; everything is in relation to everything else. In this sense, emptiness is synonymous with dependent arising. Let us see what an ancient sage said, "The limit of the unlimited is called 'fullness.' The limitlessness of the limited is called 'emptiness.'"
It is like an infinite space, something beyond expression and under- standing, all-embracing, changeless-changing, or voidless void. It is neither round nor square, neither great nor small. It is ineffable and has no attributes. Yet it is full of light and life. All Buddha-lands are as void as space. It is the same with the essence of mind or the Buddha-mind. Emptiness is also the light of wisdom and true-suchness not a pessimistic view of life or cosmology.
This is the general view of emptiness of Buddhism, or the concept of universal oneness of all phenomena, and there is almost no sutra, either in Hinayana and Mahayana, that is not related to the theory of emptiness, but interpretations vary slightly according to depth and method of interpretation. A quotation from the Middle Path by Nagarjuna: "A thing that is not dependently arisen is not evident. For that reason, a thing that is non-empty is indeed not evident." Cf. (Sippalgong) Eighteen kinds of empti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