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야사상
[般若思想, Banyasasang]


  • 이는 반야경 (般若經)에 나타나 있는 중심사상을 말하며, 일체의 법 (法)이 공하며, 그 하나하나의 법이 고정적인 실체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보는 사상이므로, 공관 (空觀)이라고도 말함. 이 사상은 소승 (小乘)의 아공법유 (我空法有)의 주장을 바로 잡으려는 시대적 사명을 가지고 있었다

    The philosophy of Prajna or transcendent wisdom: It is the essence of Mahayana Buddhism with the doctrine of emptiness. It sees everything as empty, possessing no self-entity. This philosophy was to refute the doctrine of reality of Dharma, a kind of atomism by Sarvastivadins, or the Existence School

    찾은 단어가 없습니다.



라이센스 자세히보기  |  의견제안  |  오류신고

  • 출처안내
  • 한국불교대학
  • 도서출판좋은인연

© 2011 - 박영의 박사와 한국불교대학이 모든 권한을 소유하고 있습니다.
상업적인 용도로 ‘실용한-영 불교용어사전’을 사용할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