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대식
[四大式, Sadaesik]


  • 임제종 (臨濟宗)엔 학인에게 깨달음을 얻게 하는데 네 가지 격식 (格式)이 있다
    1) 올바른 방법을 일러주어 깨달음을 얻게 하는 격식으로, 달마대사가 소림굴에서 벽을 마주하고 있는 것과 같은 것.
    2) 평상시의 도리로 깨달음을 얻게 하는 격식으로, 화산 (華山)스님이 북을 칠 줄 안다는 것과 같은 것.
    3) 본분 (本分)으로 깨달음을 얻게 하는 격식으로, ‘산승은 알지 못 한다’는 것과 같은 것.
    4) 방편으로 깨달음을 얻게 하는 것으로, 달마가 ‘알지 못 한다’고 말한 것과 같은 것.

    The four ways of instruction of the Linji Order for the student to attain enlightenment:
    1) The proper way to attain enlightenment, such as Bodhidharma's sitting in meditation facing the wall in the cave of a Saholin Monastery.
    2) The ordinary way of attaining enlightenment, such as hitting a drum.
    3) Attaining enlightenment by realization of the true self-nature by means of quizzical speech, such as "the priest does not know."
    4) Attaining enlightenment by means of expediency, such as the comment of Bodhidharma, "I do not know."

    찾은 단어가 없습니다.



라이센스 자세히보기  |  의견제안  |  오류신고

  • 출처안내
  • 한국불교대학
  • 도서출판좋은인연

© 2011 - 박영의 박사와 한국불교대학이 모든 권한을 소유하고 있습니다.
상업적인 용도로 ‘실용한-영 불교용어사전’을 사용할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