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공법유
[我空法有, Agong Beopyu]


  • 소승불교인 설일체유부 (說一切有部)의 아비달마에서는 아공법유 (我空法有)를 강조함. 이것은 일종의 실재론 (實在論)으로, 현상으로서의 아 (我)는 무상하지만, 원자론자들처럼 무엇인가 영원히 변치 않는 것이 존재한다는 것. 다시 말해 아 (我)는 공이라고 말하면서 우주의 그 어떤 실체인 법 (法)은 존재한다는 것. 이러한 아비달마의 주장을 철저히 비판한 것이 대승불교의 공관 (空觀)사상과 용수 (龍樹)의 중론 (中論)

    Emptiness of self and reality of Dharma: A kind of eternalism. This is the doctrine of Abhidharma, the "beyond Dharma," which is highly philosophical and contains an entire system of mind-training. This theory is opposed to Mahayana Buddhism, especially to the doctrine of emptiness and dependent origination expounded especially in the Middle Way by Nagarjuna.

    찾은 단어가 없습니다.



라이센스 자세히보기  |  의견제안  |  오류신고

  • 출처안내
  • 한국불교대학
  • 도서출판좋은인연

© 2011 - 박영의 박사와 한국불교대학이 모든 권한을 소유하고 있습니다.
상업적인 용도로 ‘실용한-영 불교용어사전’을 사용할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