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선문
[參禪門, Chamseonmun]


  • 선법 (禪法)을 참구 (參究)하거나 스스로 좌선한다는 뜻으로, 의식적인 마음 닦음 공부에 들어감을 의미한다. 그러나 마음을 닦아 허공과 같은 고통과 죽음이 없는 적멸의 경지에 들기 위해서는, 우선 알음알이를 내려놓고 마음을 비워야 한다. 그러나 진정한 참선이란 또 바라는 바가 없어야 한다. 바라는 바가 있다면, 그 참선은 이미 삿된 길로 빠진 것이며, 곧장 지옥에 떨어질 것 이다. 깨치겠다는 마음부터 비울 것. 참선은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으니, 하나는 좌선 (坐禪)이요, 다른 하나는 행선 (行禪). 그러나 행주좌와 (行住坐臥)를 가리지 않는 것이 참선이라고도 말함

    The path of meditation practice, or sitting in meditation: Chamseon means entering into concentration, or being lost in meditation. To develop one's mind and find our true self-nature, one must first purify and empty one's mind to be awakened, which is also called entering Nirvana, a state of incomparable bliss like an infinite space where there is neither pain nor death.
    True meditation practice also means not wanting anything to come out of meditation. When you practice with a wanting mind, your practice is already heading in the wrong direction, and will drag you straight to hell. Meditation practice is generally divided into two types, sitting and walking meditation. But there is no distinction among walking, abiding, sitting, and lying down in the mode of meditation.

    찾은 단어가 없습니다.



라이센스 자세히보기  |  의견제안  |  오류신고

  • 출처안내
  • 한국불교대학
  • 도서출판좋은인연

© 2011 - 박영의 박사와 한국불교대학이 모든 권한을 소유하고 있습니다.
상업적인 용도로 ‘실용한-영 불교용어사전’을 사용할수 없습니다.